네트워크의 기본, TCP/IP
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통신규약(프로토콜)의 모음
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에, TCP/IP라는 명칭으로 사용
•
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들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선 통일된 방법(규격)이 필요
→ 이를 규칙화한 것이 프로토콜
계층화된 TCP/IP
•
역할별로 계층화된 TCP/IP
→ 각 계층은 자신이 담당하는 부분만 신경쓰면 되므로, 효율적인 관리, 업데이트, 설계 등이 가능
•
Application Layer
◦
데이터를 유저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떻게 처리, 표현할 것인지 결정
◦
HTTP, FTP, DNS 등
•
Transport Layer
◦
데이터를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절히 배분
◦
TCP, UDP
•
Network(Internet) Layer
◦
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어떠한 경로로 보낼 것인지 결정
◦
IP
•
Network Interface(Link) Layer
◦
네트워크상 물리적으로 연결된 부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
◦
Ethernet 등
TCP/IP 통신 과정
HTTP와 깊은 관계가 있는 프로토콜은 IP / TCP / DNS
•
•
DNS는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목적지 IP 주소를 제공
◦
사용자가 일일이 컴퓨터에게 친숙한 숫자로 된 IP 주소를 기억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
◦
DNS는 도메인명에서 IP 주소를, IP 주소에서 도메인명을 조사하는 서비스 제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