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arch
•
정수형과 실수형엔 여러 타입이 존재하므로, 리터럴에 접미사를 붙여 타입을 구분
•
2, 8, 16 진수의 리터럴도 변수에 저장 가능
int octNum = 010; // 8진수 10, 10진수로 8
int hexNum = 0x10; // 16진수 10, 10진수로 16
int binNum = 0b10; // 2진수 10, 10진수로 2
Java
•
JDK1.7부터는 정수형 리터럴 중간에 구분자 _ 삽입 가능
// 단순 육안 구분에 도움을 주는 역할
long big = 100_000_000_000L; // long big = 100000000000L;
long hex = 0xFFFF_FFFF_FFFF_FFFFL; // long hex = 0xFFFFFFFFFFFFFFFFL;
Java
•
리터럴에 소수점, E(10의 제곱을 나타내는 기호), 접미사 F, D를 포함 → 실수형 간주
float pi = 3.14f;
double rate = 1.618d;
float pi = 3.14; // 에러. float 타입 변수에 double형 값 저장 불가
douible rate = 1.618; // ok
Java