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CP/IP
표준 통신 프로토콜
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 IP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 TCP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에, TCP/IP라고 부름.
•
TCP : 인터넷 통신에서 데이터는 패킷(packet)이라는 잒은 묶음으로 전송되는데,
TCP는 이 패킷 전송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
•
IP : 패킷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
•
TCP/IP로 통신하는 스마트폰, PC,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호스트라고 함.
TCP/IP Model
인터넷 프로토콜들을 역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, 트랜스포트, 인터넷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링크) 계층으로 나눈 네트워크 아키텍처
→ 이를 구성하는 프로토콜들의 모음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(Internet Protocol Suite)
•
특정 계층이 정상 기능을 하려면 그 하위 계층들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해야 함.
Network Interface(Link) Layer
호스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링크 상에서만 운용되는 메소드, 통신 프로토콜들의 모임
•
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
ex) 이더넷(유선), Wi-Fi(무선), PPP
Internet Layer
인터네트워킹(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송수신)을 위한 메소드, 프로토콜, 사양들의 모임
•
호스트간 라우팅을 담당하여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
•
end-to-end 통신 : 출발지와 최종적인 목적지 간의 데이터 통신
ex) IP (end-to-end 방식), ARP 및 ICMP (IP를 돕는 역할)
Transport Layer
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들의 모임
•
네트워크 기기에 도착한 데이터들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배분하는 역할
•
TCP : 배분 외 데이터 분할 및 조립, 재전송 제어, 흐름 제어, 신뢰성 확보 등의 기능 제공
ex) TCP(연결형), UDP(비연결형)
Application Layer
서로 공유된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방법을 추상화하는 프로토콜들의 모임
•
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표현 방식, 처리 절차 등을 결정하는 역할
ex) HTTP, SMTP, POP3 (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)
DHCP, DNS (어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준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