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 (Internet Protocol)
송수신 호스트 간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(end-to-end 통신)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
•
호스트의 주소 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
데이터의 IP 패킷화
•
IP 정보는 기존 데이터(어플리케이션과 트랜스포트 계층 헤더가 추가된)에 IP 헤더가 추가된 IP 패킷 상태로 전달이 됨.
•
데이터 수신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하면, 라우터의 라우팅을 통해 IP 패킷이 전달됨.
IP address
컴퓨터 네트워킹에서 호스트 간 서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
•
IP 헤더 내 정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IP 주소
→ IP 헤더 내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IP 주소가 반드시 명시되어 있어야 함.
•
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IP 버전인 IPv4 패킷의 포맷
•
IP 주소는 이더넷과 같은 인터페이스와 연관되어 할당이 됨.
→ 호스트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라기 보다는 호스트의 특정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주소
IP 주소 표기
•
IP 주소는 32비트지만,
사람이 좀 더 쉽게 식별하기 위해 8비트 10진수(0~255)로 표기하고 도트로 구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