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yer 2 Switch
•
허브(hub) :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을 하는 버스형 방식
◦
연결되어 있는 모든 호스트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도 전달
(데이터엔 목적지 MAC 주소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에, 전달된 후 폐기되긴 함.)
◦
물리적인 연결 구조로 스타형 연결 방식을 사용,
내부적으로 하나의 루트로 송수신을 동시에 하는 반이중 통신 방식 → 데이터 충돌 위험 ↑
•
Layer 2 Switch(Swith, Switch Hub)
◦
임의의 호스트로 부터 받은 프레임을 모든 호스트에 전송하지 않고, 필요한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스위칭 기능이 추가된 장비
◦
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교체 작업이 없이, 허브를 스위치로만 바꿔주면 사용 가능
◦
네트워크 장비들의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스위치에 개별 케이블을 사용하여 1대 1로 연결
◦
UTP 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사용하며,
케이블 내부적으로 4쌍인 가닥의 역할이 각각 나뉨 (송신, 수신, 예비 등)
◦
기기 내부적으로도 데이터 송신과 수신 채널을 각각 나눠 사용하는 전이중 통신 방식 채택
→ 데이터 충돌 위험 X
레이어 2 스위치의 동작
1.
스위치로 특정 호스트와 연결된 포트로부터 이더넷 프레임 도착
2.
출발지 MAC 주소 확인
•
MAC 주소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출발지 주소면 테이블에 포트와 함께 등록
→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한 주소 저장 기능 (영구적 저장 X. 약 5분)
•
하나의 포트에 여러 주소 저장도 가능
(포트에 또 다른 스위치가 연결된 경우, 해당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의 주소들)
3.
목적지 MAC 주소 확인
•
테이블에 존재하는 주소면 해당 포트로 프레임 전달
•
존재하지 않는 주소면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플러딩(Flooding) 발생
4.
포트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프레임을 호스트로 전송
•
목적지 MAC 주소 확인 후 호스트의 포트에선 플러딩 발생으로 도착한 불필요한 프레임 파기
5.
응답 과정도 같은 과정을 반복
•
이더넷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면, 플러딩이 발생하지 않고 필요한 곳으로만 프레임 전송 → MAC 주소 필터링